본문 바로가기
우리들의사주이야기

인간의 오장육부는 우주의 판박이

by 선덕1030 2024. 8. 9.
반응형

인간의 오장육부는 우주의 판박이
인간의 오장육부는 우주의 판박이

인간과 우주의 관계를 철학적, 신비적, 또는 인체적 맥락에서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표현이다. 인간이 우주 전체의 축소판이거나 그 일부를 반영한다는 관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개념은 다양한 맥락에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지만, 몇 가지 핵심적인 측면을 통해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

 

1. 동양 철학에서의 소우주 개념

 

동양 철학에서는 인간을 소우주로 보는 관점이다. 특히 도교와 유교에서는 우주와 인간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믿고 있고 도교에서는 우주(대우주)와 인간(소우주)이 서로 대응하며, 인간이 우주와 조화를 이룰 때 자연스러운 삶과 길(도)에 따라 살아갈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인체의 에너지 흐름인 기(氣)가 우주의 에너지와 연결되어 있다고 여겨지며, 이는 인간이 우주의 법칙에 따라 살아가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서양철학에서도 인간의 영혼은 우주의 영혼과 연결되어 있으며 인간이 우주의 질서와 조화를 반영하는 존재하고 생각하고 있다.

 

2. 신체와 우주의 상징적 연관성

 

인간의 신체 구조는 종종 우주의 상징적 구조와 비교하고 있으며 척추는 우주의 중심축과 비교될 수 있으며, 인간의 두뇌는 우주의 지혜와 신성한 힘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징은 종교적 의식이나 명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사람은 오장육부가 없는 사람은 아무도 없으며 기본적으로 10간 12지를 가지고 태어나며 여기서 사주의 네 기둥과 오행의 짜임새로 구성되어 있다. 인체에서 木은 간과 담에 해당하며 음식물이 분해될 수 있도록 소화액을 분비하고 에너지가 발생할 수 있게 하며 火는 심장 박동을 통하여 온몸에 열량을 전달한다. 金에 속하는 폐는 소비되는 에너지의 잔류물이 모인 피를 다시 모아서 산소를 공급하여 피를 맑게 한다. 신장은 피를 모아서 응축시켜 노폐물을 걸러내고 간에 새로운 피를 공급하여 힘을 얻게 하고 에너지를 다시 발생시키고 심장이 강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돌려준다. 이렇게 오장육부의 오행의 관계는 인체의 계속적인 순환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사주에서 없는 오행은 우리의 기운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인간은 소우주이다"라는 개념은 인간이 단순히 물리적 존재가 아니라, 우주와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일부를 반영하고 있다는 사상이다. 이 개념은 동서양의 철학, 종교, 신비주의에서 발견되며, 인간과 우주 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우주의 흐름을 통해 인간은 우주 전체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찾고, 보다 조화롭고 균형 잡힌 삶을 추구할 수 있는 것이다.

반응형